투자 결정을 내릴 때에는 충분한 정보를 수집하고,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 수준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라며, 제공되는 정보는 투자 결정에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지만, 최종 결정은 본인이 책임져야 합니다.
오늘 많은 분들이 궁금해했던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가 있었던 날입니다.
미국 증시 장 마감 후 SEC 사이트에 들어가서 분기 보고서를 살펴보았는데요. 어렴풋이 보았을 때 실적은 좋아보였으나 현재 에프터마켓에서는 -1 ~ -4% 사이에서 왔다갔다하고 있는 중입니다. 실적 내용을 한 번 자세히 살펴보고 주가가 하락하고 있는 원인도 한 번 찾아보시죠!
재무상태표
항목 | 2025-07-27 | 2025-01-26 | 증감률(%) |
현금·현금성·유가증권 | $56,791M | $43,210M | +31.4% |
매출채권(Accounts receivable, net) | $27,808M | $23,065M | +20.6% |
재고(Inventory) | $14,962M | $10,080M | +48.4% |
유동자산 합계 | $102,219M | $80,126M | +27.6% |
유형자산 순액(PPE, net) | $9,141M | $6,283M | +45.5% |
이연법인세자산 | $13,570M | $10,979M | +23.6% |
자산 총계 | $140,740M | $111,601M | +26.1% |
유동부채 합계 | $24,257M | $18,047M | +34.4% |
부채 총계 | $40,609M | $32,274M | +25.8% |
자본(Shareholders' equity) | $100,131M | $79,327M | +26.2% |
분기 내 강한 현금창출력과 투자 및 매입활동으로 현금성 자산(+31%)과 전체 자산(+26%) 모두 크게 증가한 모습입니다.
생산 및 출하 가속화에 따른 재고 증가로 재고가 +48% 급증한 것 같습니다. 재고 증가가 매출로 곧바로 전환되지 않으면 재고 리스크가 될 수 있으므로 추후 모니터링이 필요해보입니다.
대형 주문 및 납품 뒤 매출 채권(+20%)이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매출 증가 속도와 비교하면 합리적인 수준으로 볼 수 있겠으나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순이익과 잔존자본 그리고 동시에 분기 중 대대적으로 자사주 소각 및 환매로 자본이 증가하였습니다.
손익계산서 요약 (GAAP)
항목 | Q2 FY26 | Q1 FY26 | Q2 FY25 | QoQ(%) | YoY(%) |
매출(Revenue) | $46,743M | $44,062M | $30,040M | +6.1% | +55.6% |
매출원가(Cost of revenue) | $12,890M | $17,394M | $7,466M | -25.9% | +72.6% |
매출총이익(Gross profit) | $33,853M | $26,668M | $22,574M | +26.9% | +50.0% |
연구개발(R&D) | $4,291M | (미기재) | $3,090M | — | +38.8% |
판매관리비(SG&A) | $1,122M | — | $842M | — | +33.3% |
영업비용 합계 | $5,413M | $5,030M | $3,932M | +7.6% | +37.7% |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 $28,440M | $21,638M | $18,642M | +31.4% | +52.6% |
법인세차감후 순이익(Net income) | $26,422M | $18,775M | $16,599M | +40.7% | +59.2% |
희석주당순이익(Diluted EPS) | $1.08 | $0.76 | $0.67 | +42.1% | +61.2% |
영업이익률 (Operating margin) | 60.8% | 49.1% | 62.1% | +11.7ppt | -1.3ppt |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55.6% 증가했고 전 분기 대비 +6.1%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데이터센터 수요와 Blackwell 플랫폼이 매출 성장에 견인했다고 보여집니다. 그리고 매출원가가 전 분기 대비 25.9% 하락한게 눈에 띄는데요. 결과적으로 매출총익과 영업이익률(60.8%)이 매우 높아졌습니다. 이는 반도체/플랫폼 기업치고도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다만 $180M 규모의 H20 관련 재고 충당금 발생한 이슈를 공시했고 이는 일부 이익/마진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영업비용은 전년대비 크게 늘었지만 매출 증가 폭이 더 커서 영업레버리지가 강하게 작동했습니다.
다른 이익항목들도 전 분기 대비 크게 증가하여 순이익을 더 끌어올렸네요.
현금흐름표 요약
항목 | Q2 2025 | Q2 2024 | 증감액 | 증감율(%) |
영업활동 현금흐름(Net cash from ops) | $15,365M | $14,489M | +$876M | +6.0% |
투자활동 현금흐름 | -$7,126M | -$3,185M | -$3,941M | -123.7% |
재무활동 현금흐름 | -$11,834M | -$10,320M | -$1,514M | -14.7% |
기말현금 변동(분기 중) | -$3,595M | +$984M | -$4,579M | -456% |
현금 및 현금성(기말) | $11,639M | $8,571M | +$3,068M | +35.8% |
잉여현금흐름은 전년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약 6%), 올해 상반기 누적 기준으로는 매우 강한 영업현금 창출을 보이고 있습니다. (상반기 6개월 누계 기준 : $42.779M).
유가증권 매수 및 PPE투자(생산능력 / 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련 Capex) 로 인해 투자활동 유출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분기 내 자사주 매입을 약 $9.7B 집행함에 따라 현금 유출이 크게 확대 되었습니다.
특이사항 및 리스크
- H20 제품 판매 저하
2Q에 중국용 H20 판매가 없었고, $180M 규모의 H20 재고 충당금이 반영되었습니다. 이는 분기 이익 및 마진에 좋지 않는 영향을 끼쳐 순이익/마진의 일부는 영업 핵심성과 외 요인에 기인함을 고려해야합니다. - 다수의 비영업적 이익 반영
주로 지분평가이익이며 Non-operating other incoem 항목에 약 $2.2B이 순이익을 끌어올렸습니다. 이익의 퀄리티를 고려할 때 조금 아쉬운 부분이기는 합니다. - 재고 급증 (+48%)
재고가 과잉으로 쌓임에 따라 당장 판매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모두 비용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특히 반도체는 제품 사이클과 수요 변동에 가격이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쌓인 재고가 얼만큼 빠르고 많이 처리가 되는지 모니터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매출 / 수익 리스크
데이터센터 수익 비중($41.1B으로 수익 전체의 상당부분을 차지)이 매우 크기 때문에 수익의 다변화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닝콜 주요 내용
젠슨 황은 어닝콜에서 새로운 AI 플랫폼 Blackwell이 기대 이상의 혁신을 가져올 것이라고 표현하였으며 이는 엔비디아가 AI 인프라 시장에서 여전히 1위 기업으로서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이어서, 중국은 여전히 잠재적인 거대한 시장임을 언급하고 미국 기술 스택이 글로벌 표준이 되어야 한다는 신념을 강조했습니다. 다만 2분기 실적 전망에는 중국 시장에서의 H20 매출을 포함하지 않았다고 밝혔는데, 이는 수출 규제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여전히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젠슨 황은 Rubin 차세데 AI 플랫폼을 언급하기는 했으나 세부 내용은 향후 10월에 열리는 GTC에서 공개하겠다고도 언급하였습니다. 또한 대형 하이퍼스케일러뿐 아니라 다양한 기업군이 AI 투자에 나서고 있음을 강조했고 향후 AI 인프라 지출 규모가 3 - 4조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밝혀 장기적으로 여전히 수요는 높고 성장성 또한 긍정적임을 표현했습니다.
종합
이번 분기 Nvidia는 매출과 이익이 모두 폭발적으로 늘었고 그 결과로 영업이익률이 약 61%에 달하는 어마한 수익성을 기록했습니다. Blackwell 플랫폼과 데이터센터 수요가 주된 동력이었고 분기 실적에는 H20 관련 재고 충당금 해제와 지분평가 이익 같은 일회성 항목들도 섞여 있기 때문에 순이익 숫자만 보면 좋아보이지만 일부는 일회성이라는 점을 염두해두어야 합니다.
한편 재고가 크게 늘었고 매출채권도 증가했기 때문에 출하/납품/수금 사이클을 계속 체크해보아야 하는데 만약 제품 수요가 예상만큼 지속되지 않는다면 재고 리스크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금이 풍부한 상태에서 공격적으로 자사주를 사들이고 있고, 주주환원은 긍정적이지만 회사의 성장을 위한 투자에도 공격적이면서도 균형을 이루는지도 지켜보아야 합니다.
다음 분기까지 H20 판매 관련 후속 상황 및 이와 관련된 추가 이벤트를 꾸준히 지켜봐야할 것 같고 데이터센터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지도 꾸준히 보아야할 것 같습니다.
'경제 이야기 > 미국 주식 실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적발표] AFFIRM HOLDINGS(AFRM) - 지금 사서 나중에 갚기 : AFFIRM의 두 얼굴 (0) | 2025.09.02 |
---|---|
[실적발표] SNOWFLAKE - AI 전환 속 성적표는? (0) | 2025.09.01 |
PDD 2분기 실적 리뷰: 매출은 올랐지만 수익성은 악화 (0) | 2025.08.28 |
AI 구축을 위한 진정한 파트너로 거듭나고 있는 AMD (0) | 2025.08.27 |
AI 시대의 팔란티어, 지금 투자해도 될까? (0) | 2025.08.22 |